반응형
1.선사시대
- 정의: 문자가 없던 시대. 역사 기록이 없기 때문에 유물과 유적을 통해 연구
- 시기: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특징:
- 자연환경에 의존한 생활
- 사냥, 채집, 농경, 목축 등의 생활 양식 발달
- 사회 조직 단순, 공동체 생활
2. 구석기 시대 (약 70만 년 전 ~ 기원전 1만 년경)
주요 특징
- 경제: 사냥, 채집
- 도구: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 생활: 동굴, 강가, 바위그늘에서 생활
- 사회: 이동생활(유목적)
대표 유적
- 청원 두루봉 : 흥수아이
- 경기 연천 전곡리 –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
3. 신석기 시대 (기원전 80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
주요 특징
- 경제: 농경 시작, 가축 사육
- 도구: 간석기(갈돌, 갈판, 돌낫), 토기 등장
- 주거: 움집(반지하 형태)
- 사회: 정착 생활 → 마을 형성, 계층화 초기
대표 유적지(유적지 ㅅ 들어간건 거의 신석기)
- 강원 양양 오산리
- 제주 한경 고산리
- 황해도 봉산 지탑리
- 서울 암사동
- 부산 동삼동
문화적 특징
- 빗살무늬토기: 신석기 대표 토기
- 채집·사냥·농경 혼합 생활
- 조개껍질, 뼈 등으로 장신구 제작
4. 청동기 시대 (기원전 1500년경 ~ 기원전 300년경)
주요 특징
- 경제: 농경 중심, 벼농사 시작 가능성, 가축 사육
- 도구: 청동(비파형동검,청동거울,청동방울), 석기 계속 사용 (반달돌칼, 홈자귀, 바퀴날 도끼,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토기등)
- 주거: 반움집, 환호(방어용 구조)
- 사회: 계급 발생 → 지배층과 일반인 구분
대표 유적
- 부여 송국리: 돌넘무넘
- 강원 양양: 청동기 유물
- 고인돌: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세계 유네스코 유산 등재)
문화적 특징
- 청동기: 무기와 장신구 제작
- 고인돌 분포: 전국적(특히 남한 서해안)
반응형
5. 철기 시대 (기원전 300년경 ~ 삼국 초기)
주요 특징
- 경제: 철제 농기구 사용으로 벼농사 본격화, 목축 지속
- 도구: 철제 무기(칼, 창), 철제 농기구(쟁기, 호미), 토기 발달
- 주거: 초기 마을 형성, 반움집 사용 점차 줄어듦
- 사회: 계급사회 강화, 초기 국가 형성 기반 마련
대표 유물
- 검은 간토기
- 널무덤, 독무덤
- 명도전 붓 출토(중국과의 교류)
-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한반도 독자적 청동기 문화)
문화적 특징
- 철제 농기구 → 농업 생산력 증가
- 철제 무기 → 전쟁과 방어 기술 발달
- 초기 국가 형성 단계, 계급사회 강화
- 토기 발달과 마을 정착으로 생활 안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