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을 치르신 분들이라면 공감하시겠지만,
이번 관광자원해설 영역은 이전과 확연히 다른 출제 경향을 보였습니다.
기존에는 특정 관광지나 지역의 특성을 묻는 문제가 많았다면,
올해는 관광개론이나 관광법규와
유사한 이론 중심의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저 역시 시험장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 유형에 적지 않게 당황했는데,
많은 수험자분들도 같은 느낌을 받으셨을 것이라 생각하여
이번 시험을 치른 후 출제비율을 분석하여 공유드립니다.
1.수험자들의 체감 난이도 차이
- 4과목을 전부 준비한 수험자 → “생각보다 무난했다”
- 법규·개론 면제자 → “예상과 달라 어려웠다”
시험 준비 방식에 따라 체감 난이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2 시험문제 유형의 변화
올해 시험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단순히 “이 문화재는 어느 지역에 있는가?” 수준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주요 출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유형분석]
1. 관광자원의 이해
- 26번 : 입지적 관광시장 특성에 따른 분류
- 27번 : 관광특구 개념
- 28번 : 분류 유형과 요소 연결
- 29번 : 사회적 관광자원 범주 연결
- 30번 : 테마파크 설명
- 31번 : 자연관광자원의 특성
2. 관광자원의 해설
- 32번 : 관광자원 해설의 목적
- 33번 : 산업관광 유형
- 34번 : 관광코스(경로) 유형
3. 자연관광자원
- 35번 : 해안경관 도립공원
- 36번 : 자연자원 속성
- 37번 : 농촌관광 운영형태
- 38번 : 농촌관광 사회·경제 효과
- 46번 : 무등산권 지질공원
- 49번 : 한국 갯벌 세계유산
4. 문화관광자원
- 39번 : 문화관광축제 지역 연결
- 40번 : 국가유산기본법 – 국가유산 분류
- 41번 : 문화유산 구분
- 42번 : 무형유산 구분
- 43번 : 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지
- 44번 : 세계기록유산 의궤 시기
- 45번 : 한산 모시짜기 설명
- 47번 : 종묘 설명
- 48번 : 단청 색
- 50번 : 동일 지정권자 유산
5. 출제 비율 요약 (2025, 26~50번 분석)
영역 | 문항수 | 비중 |
관광자원의 이해 | 6문항 (26~31) | 24% |
관광자원의 해설 | 3문항 (32~34) | 12% |
자연관광자원 | 6문항 (35~38, 46, 49) | 24% |
문화관광자원 | 10문항 (39~45, 47~48, 50) | 40% |
최근 기출문제와는 다르게 문제 동향이
따라서 앞으로 준비하실 분들은 단순 관광지 암기에서 벗어나,
관광학적 배경지식과 법적 체계까지 함께 공부해야
합격에 한 걸음 더 가까워 질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2025년 관광통역안내사 시험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파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2025년 관광통역안내사 문제.pdf
0.15MB